적립식 NISA & 일반 NISA 어느 것이 좋을까?
NISA에는 「적립식 NISA」 와 「일반 NISA」가 있습니다.
운영 방식이나 대상상품, 이용 가능 기간 등 차이가 있으므로, 각자의 투자 스타일에 맞추어,
자신에게 맞는 구좌를 고릅시다.(둘 중 한가지만 선택 가능합니다.).
일반 NISA | 적립식 NISA | |
대상자 | 20세 이상 | |
운영 방식 | 통상매입・적립방식 | 적립방식 |
연간 투자 상한액 | 120만엔 | 40만엔 |
비과세 기간 | 5년 | 20년 |
대상 상품 | 국내주식・해외주식・투자신탁・해외ETF | 나라가 인정한 기준을 만족한 투자신탁 |
비과세 대상 | 대상상품의 배당금・매각 이익 등 | |
구좌설정 기간 | 2023년도 분 까지 | 2042년분 까지 |
금융기관 변경 | 매년 변경 가능 |
NISA는 일본의 주식 투자를 장려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로, 비과세 구좌를 만들 수 있는 제도임.
적립식 NISA는 [입문 투자자, 소액부터 시작하고 싶은 사람, 연간 투자액이 40만엔 이하]인 이에게,
일반 NISA는 [적극적으로 투자 하고 싶고 주식에 흥미가 있는, 연간 투자액 40만엔 이상]인 이에게 추천한다고 함.
난 라쿠텐 증권에서 증권 계좌를 열었는데,
둘 중에 하나만 신청 되는줄 모르고, 둘다 신청해야지- 하면서 신청한게
적립식 NISA가 신청되어 버렸다..
난 직접 미국 기업을 골라서 투자해보고 싶었던 거라,
잘못 신청한거 눈치채고 일반 NISA로 변경 신청 해둠 ㅠ
라쿠텐 계좌 신청하고 적립식 NISA 계좌 승인(마이 넘버 제출 하고 세무서?승인을 받아야 함)까지 한달 넘게 걸렸는데
변경용 우편물이 일주일 걸려서 도착한다니... 또 세월아 네월아 할 듯.
일본은 연간 이득이 20만엔 이상이면 확정 신고도 해야하나,
그정도 이익은 아직 낼것 같지도 않으니 여유를 가지고 기다려 보려 함.
일반 NISA의 경우, 신규 계좌신청은 2023년까지 가능하다.
20년에 신규 계과를 연 경우,
20년도에 투자한 금액(상한액120만엔)에 대한 이익의 비과세가 5년간 제공된다.
그러나 이 혜택은 2023년도 투자액 까지만 제공이므로,
2024년에는 적립식NISA로 전환해야 할 듯-
적립식 NISA의 경우, 연간 투자액 40만엔까지 20년의 비과세를 제공.
2042 개시분 까지 적용되니 비과세 적용 기간이 참 길지만.
투자 대상이 일본이 인정한 투자 신탁 -_-
현재 라쿠텐 증권 기준, 159개의 투자 신탁이 있다하며,
미국쪽 투자 신탁도 있는 듯 하긴 하나, 제공 되는 자료 스윽 봐도 읽기 싫음 ㅋㅋ
나중에 적립식으로 넘어갈 때 다시 찾아봐야 할 듯.
자료 출처는 라쿠텐 증권
'노마드족 되고잡다 > 투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일본 가상화폐 세금은 얼마? (22) | 2021.05.31 |
---|---|
일본에서 미국 주식하기 비과세 일반 NISA 구좌! (20) | 2020.09.02 |
일본에서 주식 투자하기_일반 NISA 활용 방법 _주식편 & 수수료 (22) | 2020.08.26 |
댓글4